부동산 시장 불확실성 속에서 가격 방어력이 뛰어난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나타나면서 중대형의 가치가 부각되고 있다.방문객들이 한 건설회사의 견본주택을 둘러보고 있다.[사진=나눔경제뉴스DB]
[나눔경제뉴스=최유나 기자]#. 부동산R114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전국에서 공급된 아파트는 약 98만 가구다. 이 가운데 전용 85㎡ 초과 중대형 평형은 11만 가구(11.4%) 수준에 불과하다. 과거 전체의 30% 안팎까지 올랐던 비중이 10%대 초반으로 떨어졌다.
부동산시장 침체속 분양시장에서 중대형 아파트가 주목받고 있다.
24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한동안 소형·중소형 위주의 공급 기조가 이어지면서 물량 자체가 부족한 데다, 부동산 시장 불확실성 속에서 가격 방어력이 뛰어난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나타나면서 중대형의 가치가 부각되고 있다.
고등학생인 두 아들과 살고 있는 김현중씨는 최근 84㎡이 좁게 느껴진다. 예전에 없던 가전 제품들이 늘고, 아이들의 덩치가 커지면서다. 김씨는 좀 더 넓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40평대로 이사를 생각하고 있다.
중대형 아파트는 최근 희소성은 가격에도 반영되고 있다. 2020년 대비 2024년 전국 중대형 아파트 3.3㎡당 매매가격은 1951만원에서 2,328만원으로 약 19.3% 상승, 전체 평균(9.5%)의 두 배 이상을 기록했다.
KB부동산 통계에서도 최근 3년(2022년 6월~2025년 6월) 동안 전국 대형 아파트 가격은 평균 12.0% 상승했다. 같은 기간 소형 평형이 9.20% 하락하고, 전체 평균이 9.5% 오르는 데 그친 것과 대조적이다.
청약 시장에서도 중대형 평형의 인기다. 서울과 수도권은 물론 지방 주요 도시에서도 중대형 평형 위주로 구성된 단지들이 잇따라 공급되며 뛰어난 성적을 기록, 지역 대표 흥행 단지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대우건설이 부산 전통 부촌 남천동 일원에 선보이는 ‘써밋 리미티드 남천’은 최근 진행된 1순위 청약에서 무려 1만6286개의 청약통장을 끌어 모으며 올해 부산 최고의 흥행 성적을 기록했다. 이 단지는 전용면적 84㎡부터 243㎡까지 중대형 위주의 다양한 평형을 선보인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써밋 리미티드 남천의 1순위 평균 경쟁률(특별공급 제외, 기타지역 포함)은 22.62대 1이며, 최고 경쟁률은 전용 84㎡B 타입에서 나온 349.17대 1이다.
부산 최초로 3.3㎡당 평균 분양가 5,000만 원을 넘긴 단지임에도 불구하고, 일부 타입을 제외한 중대형 타입 모두 고르게 1순위 마감되며 부동산 시장 침체 속 독보적인 흥행 성과를 거뒀다.
지난달 6.27 부동산 규제책이 나온 이후 첫 분양단지인 인천 검단호수공원역 중흥S클래스도 114㎡ 경우 205가구 모집에 해당지역 763건(7.41대1), 기타지역 475건(11.13대1) 등 총 1238건의 청약통장이 접수되면서 흥행에 성공했다.
한 부동산 관계자는 “넓은 평형은 단순한 주거 공간을 넘어 자산 측면에서 상징적 가치가 크며,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안정적인 자산으로 평가된다”며 “공급 축소로 희소성이 커지고, 불황 속에서도 가격 방어력이 강하게 작용하면서 ‘거거익선(大更益善)’의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