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화가 이상표 작가가  11월 19일부터 25일까지 서울 인사동 라메르 3층 MIAF 부스전에서 개인전 '길에서 마주친 우연, 발길이 만들어 낸 필연'을 개최한다. 새벽을 여는 사람들,의암호 상고대,106x70cm,수묵담채,2025.[그림=이상표 화백]
한국화가 이상표 작가가  11월 19일부터 25일까지 서울 인사동 라메르 3층 MIAF 부스전에서 개인전 '길에서 마주친 우연, 발길이 만들어 낸 필연'을 개최한다. 새벽을 여는 사람들,의암호 상고대,106x70cm,수묵담채,2025.[그림=이상표 화백]

한국화가 이상표 작가가 오는 19일부터 25일까지 서울 인사동 라메르 3층 MIAF 부스전에서 개인전 '길에서 마주친 우연, 발길이 만들어 낸 필연'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일상 속에서 마주한 찰나의 순간을 ‘우연’으로 받아들이되, 그것을 ‘발길이 만들어 낸 필연’으로 재해석한 수묵 한국화 신작 9점으로 구성됐다.

작가는 길 위에서 만난 풍경과 사람, 빛과 그림자를 내면적 시선으로 재구성하며, 수묵의 본질을 현대적 언어로 확장하고 있다.

정적인 화면 속에서도 미세한 결과 바람, 소리의 울림이 느껴지는 그의 작업은 전통과 현대의 경계를 허물며 독자적 예술 세계를 구축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정지된 시간의 아름다움,95x69cm,수묵담채.[그림=이상표 화백]
정지된 시간의 아름다움,95x69cm,수묵담채.[그림=이상표 화백]
화엄 홍매106x70cm,수묵담채.2025.[그림=이상표 화백]
화엄 홍매106x70cm,수묵담채.2025.[그림=이상표 화백]

▶전통 수묵의 현대적 변주

이상표 작가는 “수묵 담채로 담아낸 결, 바람, 소리”라는 평처럼 전통 기법에 현대적 감각을 결합해온 작가다.

경영인으로 사회적 경력을 쌓은 뒤 2020년 대한민국미술대전과 목우회 공모전에서 동시 입상하며 화단에 데뷔했다. 이후 6년간 100여 점이 넘는 작품을 발표하며 꾸준히 일상 속 감동을 수묵 언어로 풀어내 왔다.

그는 ▲대한민국미술대전 심사위원(2023) ▲대한민국미술대전 40·41회 연속 특선 ▲목우회 공모대전 특선(2023) ▲목우 미술축전(MWAF) 우수작가상 ▲MIAF전 5년 연속 선정 ▲아이프 칠드런 엔젤 아티스트(2022~2023) ▲한국미술작가전 최우수작가상(2023) 등 다수의 수상과 초대전을 통해 전통 수묵의 현대적 재해석을 이어온 작가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했다.

가을이 머문자리, 69x87cm, 수묵담채,2025.[그림=이상표 화백]
가을이 머문자리, 69x87cm, 수묵담채,2025.[그림=이상표 화백]

 “우연에서 필연으로” — 예술적 사유의 여정

이번 전시는 빛과 시간, 감정의 흐름을 동시대적으로 담아낸 수묵화 시리즈로 구성된다. 대표작 '새벽을 여는 사람들, 가을이 머문 자리, 가을 나들이, 어우러 짐(2점), 화엄 홍매, '시간의 결' 등이 출품된다.

특히 전시의 철학적 중심에는 '소통Ⅱ'가 있다. 이는 2020년 개인전에서 선암사의 물확을 소재로 한 '소통'의 연작으로, 5년 만에 같은 장소를 다시 찾아 시간의 흐름과 내면의 사유를 새롭게 담은 작품이다.

작가는 당시 작품에 감동한 선암사 주지 스님의 특별 허락으로 접근이 제한된 공간을 다시 스케치할 수 있었다고 전한다.

이 일화는 그의 예술이 단순한 풍경 재현을 넘어, 삶과 마음의 순환에 대한 철학적 탐구임을 보여준다.

저작권자 © 나눔경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