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11월 25일 무케시 암바니 릴라이언스 회장을 만나 AI 데이터센터·반도체·6G·XR·미래 디스플레이·배터리·EPC(설계·조달·시공) 등 신사업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이미지=생성형 AI]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11월 25일 무케시 암바니 릴라이언스 회장을 만나 AI 데이터센터·반도체·6G·XR·미래 디스플레이·배터리·EPC(설계·조달·시공) 등 신사업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이미지=생성형 AI]

삼성이 인도 최대 기업이자 핵심 전략 파트너인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Reliance Industries)와의 협력을 AI·반도체·차세대 통신·데이터센터·배터리 등 그룹 전 사업으로 넓힌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AI 경쟁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세계 최대 성장 시장인 인도를 중심으로 미래 신사업 기반을 강화하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이재용–암바니 회장, AI·6G·반도체·배터리 협력 논의… “전방위 동맹 확대”

25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무케시 암바니 릴라이언스 회장을 만나 AI 데이터센터·반도체·6G·XR·미래 디스플레이·배터리·EPC(설계·조달·시공) 등 신사업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삼성은 이번 회동에서 ▲AI·XR(확장현실) ▲파운드리 ▲차세대 통신(6G) ▲AI 데이터센터 솔루션 ▲클라우드 ▲배터리·ESS ▲플랜트 건설 및 EPC 기술 등 그룹 계열사의 미래 기술을 총망라해 릴라이언스 측에 소개했다.

암바니 회장은 삼성전자의 갤럭시 XR, 차세대 마이크로 RGB 디스플레이, 삼성SDI의 배터리 기술 등 신기술을 직접 체험하며 협력의 폭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릴라이언스, ‘딥테크 기업’ 전환… 삼성에 최적의 전략 파트너로 부상

릴라이언스는 2020년대 들어 기존 석유화학·리테일 중심에서 AI·신재생 에너지·스마트 제조·데이터센터로 사업구조를 전환 중이다. 최근에는 인도에 세계 최대 규모의 AI 데이터센터 구축 프로젝트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양사는 ▲AI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AI 반도체·가속기 시스템 ▲전력 안정성을 위한 ESS 배터리 ▲인도 6G 망 구축 등에서 협력을 크게 늘릴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과 릴라이언스의 파트너십은 오래됐다.

고 이건희 회장 시절부터 이어온 관계는 2012년 릴라이언스 지오(Jio)의 4G 네트워크 구축 계약을 계기로 본격화됐고, 2022년에는 5G 무선 접속망 장비 공급 계약도 체결됐다.

 ▶글로벌 네트워크 총동원… 이재용의 ‘미래 먹거리’ 외교 가속

이재용 회장은 최근 AI·모빌리티·바이오 등 미래 산업 글로벌 리더들과의 연쇄 회동을 이어가고 있다.

 ▲10월에는  젠슨 황(NVIDIA), 샘 올트먼(OpenAI)과 AI 팩토리·차세대 메모리·AI-RAN 협력 논의  ▲11월은 올라 칼레니우스 벤츠 회장과 승지원에서 미래 모빌리티 기술 논의, 글로벌 제약사(화이자·로슈·BMS·AZ 등) 경영진과 지속 교류하며 바이오 사업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이번 릴라이언스와의 회동도 이러한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의 연장선에 있다. 인도는 삼성에게 제조·네트워크·AI 클라우드·배터리 등 ‘전략적 확장 시장’인 만큼, 향후 대규모 투자와 공동 프로젝트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크다.

 ▶ 업계 “삼성–릴라이언스, AI·6G 시대 핵심 공급망 구축”… 시장 영향 주목

재계와 ICT 업계는 양사의 협력 강화가 ▲인도 AI 인프라 시장 선점 ▲글로벌 6G 표준 경쟁 ▲차세대 배터리 및 ESS 시장 진출 ▲메모리·파운드리 수요 창출 등에서 큰 시너지를 낼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인도 정부가 ‘디지털 인디아’ 정책을 앞세워 AI, 통신,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집중 육성하고 있어, 삼성의 사업 기회는 더 커질 전망이다.

양사의 파트너십이 AI·6G·반도체·배터리 등 핵심 산업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가 업계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저작권자 © 나눔경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