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염색산단 재생과 환경설비 고도화, 기업은 GRS(글로벌 리사이클 인증) 확대와 디지털 프린팅 도입으로 글로벌 공급망 규제에 대응하며,  산업 전반 의 지속가능 전환을 이끌고 있다.[이미지=나눔경제뉴스]
대구시는 염색산단 재생과 환경설비 고도화, 기업은 GRS(글로벌 리사이클 인증) 확대와 디지털 프린팅 도입으로 글로벌 공급망 규제에 대응하며,  산업 전반 의 지속가능 전환을 이끌고 있다.[이미지=나눔경제뉴스]

[이창희 편집위원] “섬유 도시 대구, 리사이클 원단과 친환경 패션으로 세계 무대에 도전한다.”

 전통 염색·직물 중심의 산업 생태계가 재생 소재·디지털 친환경 공정·의료·헬스케어 스마트섬유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대구시는 염색산단 재생과 환경설비 고도화, 기업은 GRS(글로벌 리사이클 인증) 확대와 디지털 프린팅 도입으로 글로벌 공급망 규제에 대응하며, 의료·바이오 거점인 K-MEDI Hub(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는 ESG 전담조직까지 갖추며 산업 전반의 지속가능 전환을 이끌고 있다.

▶영원무역·지역 기업, 재생섬유와 친환경 공정 앞장

대구권 공급망과 연계된 수출 대기업 영원무역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서 GRS 인증 재생 폴리에스터 원사 사용 확대, 생분해 원단과 친환경 발수제 연구를 명시했다.

재생 원료 조달량· 제조공정 전환을 제3자 인증과 함께 공개하며 글로벌 바이어가 요구하는 추적 가능성 (Traceability)과 원료 인증에 선제 대응 중이다.

국내 최대 섬유전시회 PID(프리뷰 인 대구)도 ‘기능성·친환경 텍스타일’과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DTP)을 핵심 트랙으로 구성해 지속가능 소싱 허브를 지향한다.

DTP는 전통 염색 대비 물·에너지·폐수 배출을 크게 줄여 원단 1kg 기준 최대 1kg CO₂e 감축 효과가 있다는 연구가 보고됐다.

염색산단 구조 전환과 환경 리스크 관리

대구시는 대구염색산업단지(DDIC)를 재생산업지구로 지정하고 노후 인프라 개선·친환경 설비 투자 기반을 마련 중이다.

폐수·증기·전력 등 집약형 공정의 고효율화를 위한 이전 타당성 연구도 공식화됐다.

 DDIC는 국내 최대급 염색폐수 처리 클러스터로, 과거부터 전자빔(EB) 고도처리 기술을 시험· 도입해 왔다. 2025년 초 우·오수관 누출 등 사고가 발생하며 배관·공동처리시설 고도화의 긴급성이 확인됐다.

대구시는 폐수처리시설 지하화·설비 교체 등 개선책을 병행하며, ‘그린&클린 환경규제 대응’ 지원사업으로 중소 염색·직물기업의 GRS·OEKO-TEX 등 친환경 인증 획득 도 돕고 있다.

글로벌 공급망 ESG 규제, 대구 기업의 체크리스트

대구 섬유·패션 기업이 직면한 최전선은 EU 규제 패키지다. ESPR(지속가능제품설계규정)은 섬유 제품군의 디지털 제품여권(DPP) 도입을 예고, 원료·수리·재활용성·유해화학물질 등 데이터 공개를 요구한다.

CSDDD(기업 지속가능 실사 지침)는 2024년 7월 발효돼 인권·환경 실사를 의무화했고, 한국 수출기업도 EU 내 매출에 따라 적용 대상이 될 수 있다.

EU 순환섬유 전략은 디자인요건 강화, 폐기물·미판매품 폐기 금지, 섬유 EPR(생산자책임확대) 등을 추진한다.

이에 따라, 대구 기업은 공정 ESG와 제품 ESG(GRS·RCS·GOTS·OEKO-TEX 등 인증)의 투트랙 대응이 필수다.

한국섬유개발연구원이 국내 연구기관 최초로 GRS 인증 범위(원사·직물·부직포·가공·유통)를 획득한 것도 지역 기업의 인증 동반 획득을 지원하기 위한 포석이다.

▶의료·헬스케어 ESG: 메디시티 대구의 확장

대구는 첨단의료복합단지를 중심으로 신약·의료기기·디지털 헬스 밸류체인을 구축했다. K-메디허브는 ESG 경영팀을 설치해 에너지·온실가스·시설환경 관리와 사회공헌을 체계화했다.

대구보훈병원은 지역 스마트팜과 연계한 친환경 급식·푸드마일 저감 프로그램으로 공공의료 ESG 모델을 제시하고, 지역 연구기관은 항균·웨어러블 센서 등 의료·헬스케어용 기능성 섬 유 개발을 지속 중이다.

▶남은 과제: 인프라·인증 비용·가격 경쟁력

대규모 인프라 투자 없이는 ESG 전환 속도가 제한적이다.

 오·폐수 사고 재발과 노후 설비는 배관 교체·지하화·모니터링 등 위험 차단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또 EU DPP·실사지침 본격화로 ‘인증 없는 수출’이 불가능해지면서 중소기업의 인증·데이터 구축 비용 부담이 커지고 있다.

 지역 차원의 공동 인증 지원, 전과정평가(LCA) 데이터 풀 구축, 공정의 저탄소화가 시급하다.

저작권자 © 나눔경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